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

  • 2019-11-28 ~ 2020-05-31
  • 과천 3, 4, 5, 6전시실
  • 조회수3512
  • 공유하기

전시정보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
박현기, <무제>, 1979, 돌(14개), 모니터(1대), 120x260x2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현기, <무제>, 1979, 돌(14개), 모니터(1대), 120x260x2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구림, <걸레>, 1974/2001, DVD(VHS Copy), 1974년 <제2회 국제 임팩트 아트 비디오 아트 74‘> (스위스 로잔) 출품작, 2분 8초, 작가 소장
김구림, <걸레>, 1974/2001, DVD(VHS Copy), 1974년 <제2회 국제 임팩트 아트 비디오 아트 74‘> (스위스 로잔) 출품작, 2분 8초, 작가 소장
육근병, <풍경의 소리+터를 위한 눈>, 1988, 혼합매체, 갤러리 도올 개인전 설치 전경, 작가 소장
육근병, <풍경의 소리+터를 위한 눈>, 1988, 혼합매체, 갤러리 도올 개인전 설치 전경, 작가 소장
송주한/최은경, <매직 비주얼 터널>, 1993, 디지털 영상, 거울, 라이트 박스,  팬시 라이트 등 설치, 각 6분, 4분, 작가 소장
송주한/최은경, <매직 비주얼 터널>, 1993, 디지털 영상, 거울, 라이트 박스, 팬시 라이트 등 설치, 각 6분, 4분, 작가 소장
문주, <시간의 바다>, 1999/2019, 키네틱 및 비디오 영상 설치, 10대의 모니터, 스테인리스 프레임, 무빙 시스템 10개, 동작감지센서 등, 350x50x240cm
문주, <시간의 바다>, 1999/2019, 키네틱 및 비디오 영상 설치, 10대의 모니터, 스테인리스 프레임, 무빙 시스템 10개, 동작감지센서 등, 350x50x240cm
육태진, <유령상자>, 1995, 모니터 2대, VCR, 고가구, 68x85x56cm,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육태진, <유령상자>, 1995, 모니터 2대, VCR, 고가구, 68x85x56cm,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오상길, <제 살 찢기>, 1999, 싱글채널 비디오 설치, 무음, 2분 28초(무한반복), 작가 소장
오상길, <제 살 찢기>, 1999, 싱글채널 비디오 설치, 무음, 2분 28초(무한반복), 작가 소장
오상길, <제 살 찢기>, 1999, 싱글채널 비디오 설치, 무음, 2분 28초(무한반복), 작가 소장
오상길, <제 살 찢기>, 1999, 싱글채널 비디오 설치, 무음, 2분 28초(무한반복), 작가 소장
이윰, <노란 깃털>, 1998,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4분 31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윰, <노란 깃털>, 1998,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4분 31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수자, <떠도는 도시들-2727km 보따리 트럭>, 1997, 11일 간의 여정으로부터의 단채널 퍼포먼스 비디오, 무음, 7분 3초, 작가 소장
김수자, <떠도는 도시들-2727km 보따리 트럭>, 1997, 11일 간의 여정으로부터의 단채널 퍼포먼스 비디오, 무음, 7분 3초, 작가 소장
오경화, <하늘 땅 사람들>, 1990, TV 16대, 비디오 & 컴퓨터 그래픽, 컬러, 사운드, 27분 4초, 작가 소장
오경화, <하늘 땅 사람들>, 1990, TV 16대, 비디오 & 컴퓨터 그래픽, 컬러, 사운드, 27분 4초, 작가 소장
이불, <속도보다 거대한 중력 II>, 1999/2000, 스테인레스 골조 위에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벨벳, 전자 기기, 214 x 124 x 184 cm, 아라리오컬렉션
이불, <속도보다 거대한 중력 II>, 1999/2000, 스테인레스 골조 위에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벨벳, 전자 기기, 214 x 124 x 184 cm, 아라리오컬렉션
박화영, <소리>, 1998, 단채널 비디오, 컬러, 흑백, 사운드, 15분 12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화영, <소리>, 1998, 단채널 비디오, 컬러, 흑백, 사운드, 15분 12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함양아, <감각의 공간>, 1998,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9분 31초, 작가 소장
함양아, <감각의 공간>, 1998,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9분 31초, 작가 소장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 비디오 아트 30여 년의 역사를 조망하는 기획전이다. ‘시간 이미지 장치’를 부제로 하는 이번 전시는 시간성, 행위, 과정의 개념을 실험한 1970년대 비디오 아트에서 시작하여 1980~90년대 장치적인 비디오 조각, 그리고 영상 이미지와 서사에 주목한 1990년대 후반 싱글채널 비디오 및 멀티채널 비디오에 이르기까지 한국 비디오 아트의 세대별 특성과 변화를 조명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60여 명의 130여 점 작품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한국 비디오 아트 30년을 재맥락화하고 한국 비디오 아트의 독자성을 탐색한다.


비디오 매체와 관계하는 다양한 예술 실천으로서 한국 비디오 아트는 1970년대, 실험과 새로움, 대안의 의미를 가지며 한국미술계에 등장하였다. 이후 한국의 비디오 아트는 당대 한국현대미술의 지형 변화뿐 아니라 TV와 VCR, 비디오 카메라와 컴퓨터 등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변모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변모해 왔다. 이번 전시는 미술 내·외부의 환경 및 매체와 미디어의 변화 속에서 한국 비디오 아트의 전개 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핀다.


전시는 ‘한국 초기 비디오 아트와 실험미술’, ‘탈 장르 실험과 테크놀로지’, ‘비디오 조각/비디오 키네틱’, ‘신체/퍼포먼스/비디오’, ‘사회, 서사, 비디오’, ‘대중소비문화와 비디오 아트’, ‘싱글채널 비디오, 멀티채널 비디오’ 등 총 7개 주제로 구성된다. 테크놀로지와 영상문화, 과학과 예술, 장치와 서사, 이미지와 개념의 문맥을 오가며 변모, 진화했던 한국 비디오 아트의 역사를 ‘시대’라는 횡과 ‘동시대 한국현대미술’이라는 종을 씨줄과 날줄로 삼아 다각도로 해석한다.


이번 전시는 역사적으로 주요한 비디오 작품을 재제작하여 한국 비디오 아트의 역사를 일부 복원하고, 향후 MMCA 비디오 전시의 장기적 플랫폼을 마련할 뿐 아니라 한국 비디오 아트를 해외에 소개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것에 또 하나의 의미가 있다. 20세기 후반 한국 비디오 아트의 역사적 맥락을 정리하는 이번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는 국내 비디오 아트 담론과 비평, 창작에 유의미한 논의의 장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작가
    김구림, 박현기, 곽덕준, 육근병, 이원곤, 김영진, 함양아 등 한국 비디오 작가 60여 명
  • 작품수
    비디오 영상, 영상 설치, 사진, 아카이브 자료 등 130여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