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품특별전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 2014-05-17 ~ 2014-09-28
  • 서울 제 1, 2 전시실
  • 조회수1271
  • 공유하기

전시정보

소장품특별전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송현숙, <2획>, 1997
송현숙, <2획>, 1997
이우환, <조응>, 1994
이우환, <조응>, 1994
이우환, <동풍 84011002>, 1984
이우환, <동풍 84011002>, 1984
김주현, <자기 확장법>, 2005(2006 재제작)
김주현, <자기 확장법>, 2005(2006 재제작)
유병훈, <숲-바람-86 II>, 1986
유병훈, <숲-바람-86 II>, 1986
김종구, <서 있는 것>, 1993
김종구, <서 있는 것>, 1993
배륭, <구가시리즈87-T>, 1987
배륭, <구가시리즈87-T>, 1987
민균홍, <리듬1>, 1998
민균홍, <리듬1>, 1998
강운, <순수형태-여명>, 2000
강운, <순수형태-여명>, 2000
김광수, <나의 구름>, 2003
김광수, <나의 구름>, 2003
권부문, <낙산 #8160>, 2011
권부문, <낙산 #8160>, 2011
배병우, <sea1a-025hc>, 2001
배병우, <sea1a-025hc>, 2001
한정식, <고요2 충북단양>, 1998
한정식, <고요2 충북단양>, 1998
김영수, <떠도는 섬 22>, 1997-2004
김영수, <떠도는 섬 22>, 1997-2004
민병헌, <눈 1>, 1996
민병헌, <눈 1>, 1996
김수익, <모정>, 1992
김수익, <모정>, 1992
사석원, <푸른 그물안의 쏘가리>, 1992
사석원, <푸른 그물안의 쏘가리>, 1992
김상우, <세대>, 2003
김상우, <세대>, 2003
최호철, <을지로 순환선>, 2000
최호철, <을지로 순환선>, 2000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7,100여 점의 한국현대미술 소장품 중 세상 모든 존재로서의 ‘자연’과 교감하며 독창적인 감성과 미감을 보여주는 회화, 한국화, 조각 등 현대미술 전 장르의 대표작 140여점이 소개된다.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전은 한국현대미술작가들의 고유한 시각과 미감을 보여주는 전시다. 관객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독자적인 특수성과 국제적인 보편성, 그리고 창조적 미의식의 단면을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현대미술의 다양성과 표현 영역이 폭넓게 확장된 현재에도 대중들에게 ‘한국 미(美)’의 개념은 여전히 수 백 년 전의 각종 불상과 탑파, 도자 공예, 한옥 등 전통예술의 개념에 머물러있다. 이번 전시는 국제적인 보편성이 강조되는 현 시대의 경향에 휩쓸려 한국미술의 독자적인 특수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우(愚)를 경계하며, 한국현대미술의 예술적 창조성과 고유한 미적 감수성의 단편을 살펴보는 시작점에 위치해 있다.

부제인 ‘두 개의 자연’은 세상 모든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자연(自然)’에 대한 한국 작가들의 깊은 사유와 철학이 그들의 작품 속에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들 사이의 공통된 시각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에서 나온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자연’을 향한 작가들의 따뜻한 시선과 공감을 그리고 ‘자연’의 본성과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와 깨달음을 통해 창조된 ‘또 다른 자연’의 세계가 펼쳐진다.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듭하며 스스로 온전히 존재해온 ‘자연’은 세상의 모든 예술가들에게 끊임없이 창조적 ‘영감’을 제공해왔다. 자연의 본질 대한 깊은 사유와 깨달음이 투영된 간결한 형태의 ‘추상 작품’과 자연과의 교감과 관찰을 통해 포착한 ‘자연의 미세한 표정’ 속에서 관객들은 한국현대미술이 보여주는 고유한 미감과 안목의 단편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전 1, 2전시실에서 개최되며, 두 개의 전시장은 서로 다른 듯 보이지만 결국은 하나인 ‘자연’의 속성을 보여주는 현대미술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전시실: 「자연 하나: 울림」
제 1전시실에 펼쳐진 ‘자연’은 본질이자 근원적 형태로서 자연의 특성을 형상화한 것이다. 함축과 은유, 비움의 여백, 여운과 울림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고유한 미적 감각을 보여준다.
극도로 단순화된 형태 속에는 의도적인 것, 군더더기와 장식을 자제하고, 근원적이며 핵심적인 어떤 순간에 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비우고, 덜어내는 과정을 수행했던 작가들의 농축된 기의 흐름이 담겨있다.
전시장 한쪽 벽면은 한국의 예술가들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한국의 도자 예술 ‘백자’, 그 중에서도 달 항아리의 미감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보여준다. 현대의 작가들은 달 항아리의 담백한 우윳빛 순백이 품고 있는 신비로움과, 단순한 원형의 넉넉한 형태 속에서 현대적인 조형미의 극치를 발견하였다.

자연하나:울림


제 2전시실: 「자연 둘: 어울림」
제 1,2전시실을 연결하는 거대한 벽면의 위쪽 높은 하늘엔 풍성하고, 아름다운 구름이 둥실 떠있고, 수평선 위로 올망졸망 솟아오른 낙도(落島)의 아스라한 풍경이 펼쳐져 있다. 들꽃과 잡풀들이 땅으로부터 솟아올라 생명의 기운을 뿜어내며, 고요한 시냇가의 거울 같은 표면 위로 얼굴을 내민 조그만 바위와 물 위에 떠있는 버드나무 잎사귀가 우리들의 마음을 정화시킨다. 사시사철 푸른 소나무가 씩씩하게 하늘을 향해 뻗어 있고, 마디마디 옹이진 대나무가 빽빽한 대숲을 스치는 서늘한 바람이 전시장을 가득 채우고 있다.

자연둘:어울림


자연의 풍경을 지나 들어선 전시장에는 각 세대를 대표하는 평범한 이웃들의 모습이 벽면 가득 펼쳐져 있다. 대도시의 횡단보도를 바삐 건너는 수많은 익명의 도시인들과 서민의 발인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웃들의 세밀한 일상 속에서 관객들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서민아파트에 사는 32가구의 같은 공간, 다른 삶을 보여주는 영상은 폐쇄적인 공간 속에서 소통 부재의 삶을 사는 현대인의 삶 속에 감춰진 우리 이웃들의 작지만, 행복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둘:어울림


흰 벽을 배경으로 당당하게 서있는 7마리의 ‘뿔 달린 우제류’들은 인류의 생존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말, 소, 양 등의 ‘발굽 동물’에 대한 작가의 헌사이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소’는 단순한 가축 이상의 의미를 지닌 동물이었다. 농경 사회에서 황소는 노동력의 핵심이자, 인간과 교감하는 영물(靈物)이었다. 사랑하는 자식을 꼭 껴안고 있는 어미의 모성이 절절하게 표현된 작품은 최근의 충격적 사건으로 상처받은 모든 부모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자연둘:어울림

  • 기간
    2014-05-17 ~ 2014-09-28
  • 주최/후원
    국립현대미술관
  • 장소
    서울 제 1, 2 전시실
  • 관람료
    서울관 관람권 4,000원
  • 작가
    송현숙, 이우환, 김주현, 김광수, 한정식, 최호철, 김상우, 김수익, 사석원 등
  • 작품수
    140여점

전시인쇄물

IE/2010PM/0163
IE/2010PM/0163
  |  
IE/2010PM/0164
IE/2010PM/01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