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이미지는 저작권법에 따라 복제뿐만 아니라 전송, 배포 등 어떠한 방식으로든 무단 이용할 수 없으며,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원작자에게 별도의 동의를 받아야함을 알려드립니다.
박수근(朴壽根, 1914-1965)은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했으며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하여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부터 꾸준히 출품하여 여러 차례 입선했다. 그는 1940년에 평양에서 최영림, 장리석, 황유엽 등과 함께 미술단체인 주호회를 결성하면서 미술가들과 교류했다.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에 주로 출품했으며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특선을 했고, 1955년 《제7회 대한미술협회전》에서 국회문교분과위원장상을 수상하였다.
박수근은 광복 이전부터 주로 농촌의 풍경과 여인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는데 이러한 모티프는 평생 일관되게 이어진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군 부대에서 초상화를 그리면서 어렵게 생활하면서도 서울 거리의 풍경과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렸다. 특히 노동하는 여인들의 모습을 즐겨 그렸다. 그는 대상을 단순화하고 회색과 갈색을 주조로 하여 짧은 붓질로 여러 번 덧칠해 특유의 화강암 같은 화면 질감을 만들었다.
〈교회가 있는 마을 풍경〉은 종이 위에 연필로 그려진 작품으로, 한 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작품은 화면 전반을 크게 가로지르고 있는 굽이진 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길 위에는 광주리를 메고 걸어가는 어느 한 여인과, 아이를 등에 업은 채 걸어가는 다른 여인이 보인다. 화면 우측에 아주 작은 크기로 형상이 간략하게 표현된 인물들이 보인다. 박수근은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집을 소재로 한 〈봄이 오다〉 라는 첫 번째 입선작을 선보였고, 1950년대 이후로도 집을 모티프로 한 작품들을 적지 않게 그렸다. 박수근은 집이나 마을을 그릴 때면 주로 초가집, 기와집, 판잣집으로 이루어진 정경을 그렸는데, 이 작품에서는 꼭대기에 십자가를 매달고 있는 교회 건물이 소재로 등장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