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 2023-11-16 ~ 2024-05-19
  • 과천 1층, 1, 2 전시실 및 중앙홀
  • 조회수110669
  • 공유하기

전시정보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변영원, ‹합존 97번›, 1969, 캔버스에 유채, 91×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변영원, ‹합존 97번›, 1969, 캔버스에 유채, 91×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단성주보」 제300호 표지, 단성사, 1929년 2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및 제공
「단성주보」 제300호 표지, 단성사, 1929년 2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및 제공
「제일선」표지, 디자인: 김규택, 보성사, 1932년 11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제일선」표지, 디자인: 김규택, 보성사, 1932년 11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유영국, ‹산›, 1970, 캔버스에 유채, 136.5×13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유영국미술문화재단
유영국, ‹산›, 1970, 캔버스에 유채, 136.5×13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유영국미술문화재단
윤형근, ‹69-E8›, 1969, 면천에 유채, 165×14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윤형근, ‹69-E8›, 1969, 면천에 유채, 165×14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상철, ‹무더운 여름 II›, 1968, 캔버스에 유채, 162×130cm, 작가 소장
최상철, ‹무더운 여름 II›, 1968, 캔버스에 유채, 162×130cm, 작가 소장
김한, ‹인테리어 10›, 1968, 캔버스에 유채, 148×14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한, ‹인테리어 10›, 1968, 캔버스에 유채, 148×14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한묵, ‹금색운의 교차›, 1991, 캔버스에 유채, 254×20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한묵, ‹금색운의 교차›, 1991, 캔버스에 유채, 254×20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기하학적 형태, 원색의 색채,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회화의 한 경향이다. 서구에서는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의 작업을 통해 기하학적 추상이 처음 등장했고, 20세기 내내 현대미술의 주요한 경향으로 여겨졌다. 국내에서도 기하학적 추상은 1920~30년대에 처음 등장해 한국 미술사의 주요 변곡점마다 각기 다른 양상으로 존재해 왔고,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엽까지는 기하학적 추상의 시기로 불릴 만큼 이러한 경향이 확산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기하학적 추상에 대해서는 장식적인 미술이라거나 한국적인 정서와는 거리가 먼 예술이라는 평가가 늘 뒤따랐고, 그로 인해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도가 다소 낮게 평가되어 온 측면이 있다.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1920년대부터 1970년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전개된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역사를 조망하고자 마련되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기하학적 추상이 미술의 영역을 넘어 건축이나 디자인 등 연관 분야와 접점을 형성해 왔고, 당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도 연동하면서 한국 미술의 외연을 확장하는 역할을 해왔다는 점을 부각해 소개하고자 한다. 추상은 외부 세계의 모습이나 사회적 현실과 무관한 미술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 한 시대의 산물이다. 기하학적 추상 역시 그것이 만들어진 당대 한국의 사회적, 역사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번 전시가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통해 당대 한국의 사회적, 역사적 상황을 되돌아보는 흥미로운 탐색의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계기로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이 지닌 의미와 독자성 또한 드러날 수 있기를 바란다.

  • 작가
    김환기, 박서보, 변영원, 서승원, 유영국, 윤형근, 이상욱, 이성자, 이승조, 최명영, 최상철, 하종현, 한묵, 다운라이트&오시선 등 40여 명
  • 작품수
    작품 및 자료 200여점

관련자료

전시이미지

오디오가이드

#100. 전시 인사말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전을 찾아주신 관람객 여러분, 반갑습니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선과 점, 원과 면 같은 기하학적 형태와 원색의 색채, 그리고 화면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회화의 경향입니다. 서구에서는 20세기 내내 현대미술의 핵심적인 경향으로 자리 잡으며 많은 영향을 끼치기도 했죠. 반면, 한국에서는 우리 정서와는 거리가 먼 예술, 혹은 장식적인 미술로 폄하되면서 크게 주목받지 못한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미술이라는 분야를 넘어 건축과 디자인과 접점을 만들면서 독자적인 추상의 영역을 형성했고, 한국 사회의 변화와 맞물리며 미술의 외연을 넓히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시대적이고 사회적인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또 그런 변화를 반영하며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변화의 동력이 되어 왔던 것이죠. 그럼, 한국의 기하 추상미술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볼 이번 전시를, 지금부터 함께 관람해 보실까요?
전시 인사말

100.전시 인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