벙커 입구
김기성, ‹봉명주공 장면들›, 2025,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19분 11초
최우람, ‹비밀의 추-Occultus Libramentum›, 2009, 철, 자석, 유리, 코일관, CPU보드, 110×23×23cm(13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신형섭, ‹아르고스 판옵테스 Ⅰ,Ⅱ,Ⅲ,Ⅳ›, 2018, LED 조명, 렌즈, 오브제, 85×115×85cm, 60×120×60cm, 70×115×70cm, 55×115×5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염지혜, ‹미래열병›, 2018,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17분 10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박기진, ‹미지(未知)›, 2025, 영상 설치; 단채널 영상, 컬러, 3채널 사운드; 혼합매체, 영상: 6분 1초, 설치: 가변크기
전수천, ‹방황하는 혹성들 속의 토우-그 한국인의 정신›, 1995, TV 모니터, VCR, 유리, 토우, 산업 폐기물, 황토, 네온, 조명, 금속 프레임, 종이에 스크린프린트, 가변크기.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병찬, ‹플라스틱 유기체›, 2025, 혼합매체, 가변크기
유화수, ‹잡초의 자리›, 2025, 스마트팜 시스템, 금속, 수조, 잡초, 가변크기 + 유화수, ‹가로수›, 2025, 스마트팜 시스템, 버섯, 조명, 제거된 가로수, 400×200×150cm
장민승+정재일, ‹상림›, 2014(2025년 재제작), 영상 설치; 단채널 영상,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산불로 탄화된 소나무 조각, 조명, 영상: 47분, 오브제 가변크기(12)
사일로랩, ‹파동›, 2022(2025년 재제작), 원형 수조, 파동 모터, 융복합 미디어 설치, 라이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향, 가변 크기
사일로랩×박근호(참새), ‹묘화›, 2014(2025년 재제작), 목공 구조, 백열전구, 라이팅 시스템, 향, 가변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