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키토피아의 실험

  • 2015-06-30 ~ 2016-01-03
  • 과천 제 5전시실(건축갤러리)
  • 조회수2262
  • 공유하기

전시정보

아키토피아의 실험
강홍구, <드럼통>, 2004
강홍구, <드럼통>, 2004
김수근, <세운상가 건립계획_서측입면도, 남측입면도>, 1966
김수근, <세운상가 건립계획_서측입면도, 남측입면도>, 1966
김용관, <헤이리 2015>, 2015
김용관, <헤이리 2015>, 2015
김종규+김준성, [헤이리 아트밸리 마스터플랜], 2001
김종규+김준성, [헤이리 아트밸리 마스터플랜], 2001
김종오, <파주북시티>, 2004
김종오, <파주북시티>, 2004
노경, [레코드 시리즈 - 세운상가], 2015
노경, [레코드 시리즈 - 세운상가], 2015
배형민+정다운, <목소리의 방>, 2008
배형민+정다운, <목소리의 방>, 2008
서현석+안창모, <잃어버린 항해>, 2014
서현석+안창모, <잃어버린 항해>, 2014
신경섭, <Scrutable Landscape Series No.019>, 2015
신경섭, <Scrutable Landscape Series No.019>, 2015
안세권, <세운상가가 보이는 서울 파노라마>, 2015
안세권, <세운상가가 보이는 서울 파노라마>, 2015
안창모, <잊혀진 모더니스트의 꿈, 세운상가의 귀환>, 가변설치, 2015
안창모, <잊혀진 모더니스트의 꿈, 세운상가의 귀환>, 가변설치, 2015
옵티컬레이스+박정현, <판교 유토피아 - 판교지구단위계획, '해야한다'와 '해서는 안된다'의 세계>, 2015
옵티컬레이스+박정현, <판교 유토피아 - 판교지구단위계획, '해야한다'와 '해서는 안된다'의 세계>, 2015
이영준, <왜 판교는 창문을 싫어할까>, 2015
이영준, <왜 판교는 창문을 싫어할까>, 2015
이종석, <파주 출판도시의 2008 여름>, 2015
이종석, <파주 출판도시의 2008 여름>, 2015
전몽각, <경부고속도로>, 1968
전몽각, <경부고속도로>, 1968
조성욱, <동상이몽>, 2011-2013
조성욱, <동상이몽>, 2011-2013
최호철, <판교택지개발지구 - 돈이 자라는 땅>, 2005
최호철, <판교택지개발지구 - 돈이 자라는 땅>, 2005
플로리안 베이겔, <심학산 쪽으로 제안된 도시 습지의 모습>, 1999
플로리안 베이겔, <심학산 쪽으로 제안된 도시 습지의 모습>, 1999
황효철, <유형을 보다>, 2013-2014
황효철, <유형을 보다>, 2013-2014

건축은 어떤 장소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출발한다. 지금보다 더 나은 곳을 꿈꾸는 유토피아적인 상상력은 건축을 작동시키는 힘이다. 건축에서도 유토피아는 역사적으로 현실을 극복하는 대안을 제공했다. 이는 특히 세계전쟁 이후 근대화된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건축가들의 비전에서 극대화되었다. 백지화된 상태에서 모든 것들을 재건해야 했던 변방의 한국에서는 이 유토피아의 실험방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기이하게 가동되었다. 건축가와 정치가는 한 배를 타고 국가 개발의 이상을 향해 전진했다. 그로부터 50여년. 많은 것들의 욕망이 거세된기대 감소의 시대인 지금 과연 우리 건축이 꿈꾸는 유토피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건축가들의 이상으로 탄생하는아키토피아(Archi-Topia)’는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채워질 것인가. 이것이 이 전시를 시작하는 질문들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 건축·도시사에 흩어진 아키토피아의 흔적들을 다시 추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역사적으로 아키토피아의 욕망이 투사된 장소들을 다시 살펴보면서 그것들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일. 그리고 이런 과정을 탐색하는 행위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앞으로의 건축적 이상향을 짐작하리라 보았다. 시대별로 조금씩 양상을 달리하며, 당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안적 아키토피아의 모습을 통해 보이지 않을 것만 같은 앞으로의 건축에 대한 이상을 조금은 헤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시에 소개하는 세운상가, 파주출판도시, 헤이리 아트밸리, 판교단독주택단지는 건축이 도시적 규모로 개입하여 인프라가 되거나 마치 건축 전시장과 같은 모습이 된 장소들이다. 건축가가 도시를 대상으로 한 작업 중 죽지 않고 살아남아 근대적 이상의 기운을 펼치는 세운상가는 한 건축가와 정치가의 꿈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다. 파주출판도시와 헤이리 아트밸리는 마스터플랜 류의 기존 도시개발 방식의 대안으로부터 출발한다. 공동성을 추구하는 문화 장소로 기획된 이곳은 건축 코디네이터 개념이 도입된 아키토피아이다. 판교단독주택단지는 2,000여 세대의 대규모 단독주택 지구로서 아파트 단지의 균질성과 폐쇄성을 탈피하고자 계획된 저밀도 신도시다. 많은 건축가들이 개별로 참여했지만 결국은 전체가 주택 전시장과 같은 모습이 된 독특한 곳이다. ()판교의 집들은 새로운 중산층을 위한 욕망의 주거지로 젊은 건축가들의 데뷔 무대가 되고 있다.

이 장소들은 저마다 동기와 배경을 달리하지만, 지금보다 더 나은 장소를 그리는 욕망에서 출발한다. 이곳들은 건축가와 건축주의 미묘한 힘 겨루기를 거쳐 그 의미가 지속되거나 퇴색되었다. 국가 주도의 유토피아 건축 계획은 현재 시점으로 다가오면서 그것을 이끄는 특정 주체들은 희미해지고 개인들의 개별적인 욕망을 담는 그릇이 되어 간다. 세운상가와 파주출판도시, 헤이리아트밸리와 같은 대규모 건축 작업의 기회조차 사라진 저성장 시대의 지금,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토피아는 개인의 욕망 사이에서 지금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 잔존하고 있다. 그 희미한 빛은 거대 건축이 사라지고 난 지금의 우리 건축이 모색해야 할 틈새를 비춘다.

이번 전시는 개별 건축물에 대한 소개보다는 건축 유토피아라는 어떤 이상을 담은 특정한 현상을 탐색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펼쳐 보인다. 사진, 드로잉, 영상, 그래픽, 텍스트와 같은 혼성적 요소들은 마치 잡지의 특집 기사를 보는 것처럼 적절히 시각적으로 배치하여 생생한 읽기 경험을 강조한다. 전시에 참여한 건축가, 사진가, 평론가, 그래픽 디자이너들은아키토피아의 실험을 포착하는 이미지 수집가이자 제작자로서 특정 시점에서 드러난 유토피아의 흔적들을 보여준다.

  • 작가
    강홍구, 김수근, 김용관, 김종규, 김종오, 김준성, 노경, 박정현, 배형민, 서현석, 신경섭, 안세권, 안창모, 옵티컬레이스, 이영준, 이종석, 전몽각, 정다운, 조성욱, 최호철, 플로리안 베이겔, 황효철
  • 작품수
    건축(영상, 사진 등 100여점)

전시인쇄물

IE/2010PM/0249
IE/2010PM/0249
  |  
IE/2010PM/0250
IE/2010PM/0250
  |